올리브빼빼 스토리
고추 병해충 종류와 증세, 고추 방재방법과 생리장애 정리 본문
고추 병해충 종류와 증세,
고추 방재방법과 생리장애 정리

고추는 우리나라 작물 중에서 소비가 매우 많아 많이 심고 키우는 작물 중에 하나입니다.
좋은 품질의 고추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적인 기술을 이용한 방재 또한 절대적으로 필요한데요.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인 방재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고추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의 종류와 증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추의 주된 병해충으로는 역병과 탄저병, 풋마름병, 흰가루병, 바이러스병 등이 있습니다. 이런 주된 병해충을 비롯해서 고추에 발생하는 병은 20여 가지가 넘어서 해마다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고추 병해충 종류 :
역병, 풋마름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흰가루병, 균핵병, 바이러스병, 세균성점무늬병, 탄저병, 무름병, 담배가루이, 담배나방, 총채벌레, 진딧물 등

역병
역병은 고추장애의 가장 큰 병해충중의 하나로 고추를 정식한 후 9월 초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해서 7~8월 장마기에 많이 발생합니다.
증상은 어린묘에 감염되면 땅 근처의 줄기가 암갈색으로 말라죽고 생육 중기 이후에는 땅 근처의 줄기가 잘록해지면서 썩게 되고 점차 줄기 위쪽으로 감염되어 포기 전체가 말라죽는 증세를 보입니다.
병원이 빗물에 의해 튀게 되면 잎과 고추 열매에도 감염되어 발병부위는 불에 데친 것처럼 나타나게 됩니다.

방재방법으로는 배수로를 정비하고 이랑을 높게 만들어 물이 잘 빠지게 하는것이 매우 중요하며 상습 발생지에서는 콩과 작물이나 밀, 옥수수 등의 화본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토양표면에 짚이나 비닐을 깔아서 흙이 식물체에 튀지않도록 멀칭을 하거나 죽은 식물체를 조기에 제거하는 것도 좋은 방재방법입니다.

탄저병
탄저병은 역병과 함께 고추의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충해로 과실이 열매를 맺기 시작하는 6월 중하순부터 발생해 장마기와 8~9월의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급속하게 증가합니다.
주된 증세로는 처음에는 기름방울 같은 연녹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둥근모양으로 바뀌다가 탄듯한 모양의 움푹 들어간 형태를 띠게 됩니다.

방재방법으로는 빗물이 튀는것을 막아주거나 병든 고추를 제거하여주고 약제를 아래에서 위의 방향으로 살포하여 열매에 약이 묻도록 해줍니다.


흰가루병
흰가루병은 일조가 부족하고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 주고 발생하는데 비교적 건조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주고 잎에서 발생하며 발병 초기에는 잎 뒷면에 한 부분이 흰가루가 묻은 것처럼 보이다가 발생이 지속되면 잎은 점차 누렇게 변하고 얼룩덜룩해지면서 아래에서부터 말라서 떨어지게 됩니다.

방재방법으로는 밀식재배를 피하고 질소비료의 사용을 줄이고 병든 잎은 모아서 불에 태우거나 땅속에 묻어서 전염을 줄여야 합니다.
친환경적으로 방재하려면 난황유를 사용하여 줍니다.


풋마름병
풋마름병은 여름철 온도가 높고 토양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많이 발생합니다.
토양환경이 불량한 경우에 많이 발생하고 병 증세는 처음에는 생장점 부근의 잎이 수분 부족으로 급속하게 말라 시드는데 낮에는 시들고 밤에는 회복되는 증상이 반복되다가 수일 내에 잎이 푸른색으로 말라죽습니다.
방재방법으로는 발생이 심했던 장소에서는 다른 작물과 돌려짓기를 자제하고 퇴비와 화학비료의 과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풋마름병은 장마가 지난 후에 비닐을 벗겨주고 토양의 온도를 낮춰주는 것도 병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병
진딧물이나 총채벌레 등의 매개체에 의해서 옮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병징으로는 잎과 열매에 얼룩 변색 기형을 보입니다.
방재방법으로는 생육초기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매개충 방재와 잡초제거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까지는 바이러스병을 방제하는 약품이 나오지 않고 있으므로 바이러스병에 걸린 고추는 뽑아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라이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채널명 변경하는 방법, 쉽게 유튜브 채널이름 변경하기 (0) | 2023.09.24 |
---|---|
맛있는 된장 담그기 체험신청예약, 전통된장 가르기 한번 해보세요 (0) | 2023.01.08 |
시골된장 맛있는곳 추천, 맛있는 집된장으로 시골재래 된장국 끓이기 (1) | 2023.01.08 |
매실주 부작용과 나쁜성분, 매실주 담그는법 담그는시기 (0) | 2022.06.13 |
매실청 잘 담그는법, 매실청 담그는 시기 (0) | 2022.06.13 |
카카오뷰 만들기, PC버전개설하기 (0) | 2022.05.25 |